정부·지자체 취재노트

작성자 admin 시간 2022-09-20 17:03:28
네이버
첨부파일 :

마을자치연금

도시와 농촌의 격차, 즉 도농격차는 한국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나라에서 겪고 있는 현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도시 근로자의 가구소득은 7,236만원이고, 농촌 근로자의 가구소득은 4,502만원으로 도시 근로자 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의 비율은 62.2%였다. 96%로 도농간 소득격차가 거의 비슷했던 1995년 이후 격차는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한국 뿐만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여러 국가 역시 도농격차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와 더불어 농촌 지역은 인구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여러 파생 효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따르면, 농촌 지역은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고, 경제 성장이 더디며 문화, 교육, 정보 등 다양한 차원에서 소외 현상이 심각하다. 또한, 농촌지역 인구는 낮은 노후보장제 가입률, 노인복지에 대한 공적 지출의 한계로 인해 고령화에 비해 사회안전망 자체가 미흡하다. 정부는 이러한 도농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돌봄서비스, 시설 확충, 임금보존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이번 지자체 모범사례 취재노트는 이런 다양한 노력의 일환인 마을자치연금을 소개한다.


image01_12.png
마을자치연금 소개 포스터 (출처: 국민연금공단)

마을자치연금은 마을 내 시설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사업수익의 일부를 활용하여 고령으로 경제활동이 어려운 노인에게 지급하는 연금이다. 전북연구원은 농촌 마을의 현실적 어려움에 대응하여 지역주민이 주체적으로 기획하고 참여하는 사업모델을 실행하고, 그 성과를 마을 공동체의 공동이익으로 환원하고 있는 농촌마을 자치연금사례에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마을자치연금은 202171호점인 전북 익산의 성당포구마을과 2호점인 전북 완주군 도계마을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전북 익산시의 함열읍 금성마을을 전국 3호로 추진 중에 있다. 익산의 성당포구마을은 태양광 발전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수익금과 체험·숙박시설 및 캠핑장 운영 등 마을사업을 통해 70세 이상 노인 28명에게 매달 10만원의 자치 연금을 지급하고 있다. 2호점인 완주군 도계마을 역시 마을 공동체 수익금을 통해 75세 이상 어르신 32명에게 연금을 지급하고 있다.

 

성당포구마을은 주민이 100명 안팎인 작은 마을로 주민 3명 중 1명이 70세 이상 노인이다. 마을자치연금은 해당 마을 젊은 층의 동의 하에 지역 노인들에게 마을 내 수익 일부를 연금 형태로 지급한다. 이 사업은 주민 간의 배려와 공동체 회복, 그리고 노인 빈곤 예방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이는 국민연금 등 노후 소득보장을 보조하는 방법 중 하나로 관심을 받고 있다.


image02_17.png
익산 성당포구마을에서 마을자치연금 전국 제1호 마을 준공식 (출처: 전북일보)

 

마을연금제도의 경제적 지속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을연금제도는 사회수당의 성격을 띄고 있어 향후 농촌 지역 노인들에게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수당은 개인의 경제적 수준과 무관하게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 때문에 형평성과 보편성 측면에서도 정당성을 가진다. 실제로 현재 마을자치연금을 받고 있는 주민들의 인터뷰를 보면 마을자치연금이 실질적인 생활에 큰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인권 측면에서 마을자치연금은 경제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적절한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마을자치연금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연금을 받지 않는 젊은 세대들의 배려와 공동체 회복이라는 가치에 있다. 마을자치연금이 노인들에게 지급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의 배려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 이는 세대 간의 합의와 공존을 바탕으로 하는 호혜적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는 마을자치연금을 전국으로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노인의 소득보장을 넘어 마을 공동체를 회복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